2025/02/25 5

2025년 다해 2월 26일 수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2025년 다해 2월 26일 수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복음: 마르코 9,38-40 진정 지혜로운 사람은 하느님을 경외하는 사람입니다!> 요즘 계속 봉독되고 있는 집회서는 참된 지혜가 어떤 것인지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집회서는 유다교 문학의 지혜 장르를 보여주는 탁월한 본보기가 되는 성경입니다. 집회서에서 ‘소피아’로 인격화된 지혜는 자신과 하느님의 영원한 관계에 관해 설명하고, 모세의 율법과 자신을 동일시합니다. 예수님 시대에 이르러 지혜에 대한 개념은 대폭 확장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간 자칭 지혜롭고 슬기로운 존재라고 자처했던 사람들, 비본질적인 것, 가시적인 것에 집착한 나머지 가장 중요한 본질적인 것, 내면적인 것을 놓쳐버린 사람들을 부끄럽게 만드셨습니다. 그들은 스스로 지혜로움의 끝판..

2025년 2월 26일 수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2025년 다해 2월 26일 수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복음: 마르코 9,38-40  며칠 전에 어떤 어르신 한 분이 저에게 정치적인 이유로 따지기 위해 찾아왔었습니다.저를 알아서가 아니라 가톨릭 전체를 좌파 편향으로 보고 따지러 온 것이었습니다.나이가 들수록 넓어지는 게 아니라 더 좁은 시각으로 편을 가르는 시각이 좀 안타까웠습니다.그러면서 예전에 김수환 추기경이나 혹은 넬슨 만델라처럼 국민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소위 ‘어른’이 요즘에 없다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요한은 속 좁은 사람으로 등장합니다. 그리스도의 제자가 아닌데도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마귀를 쫓아내는 것을 보았는데, 그를 막아보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누가 마귀를 쫓든 마귀가 쫓겨나면 좋은 것이 아니겠습니까?그런데 요한..

<시간과 기억의 기다림, 초월과 진관사 태극기>연극, 2월 28일 은평문화예술회관서 개최

[에코데일리뉴스=조범용 기자] 연극이 2월 28일 오후 7시 은평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공연된다. 은평구(구청장 김미경) 주최 및 주관으로 기획된 이 작품은 불교계의 대표 독립운동가 백초월 스님의 행적을 중심으로, 그의 범민중적 독립운동의 가치를 되새기며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달한다. 연극은 군용열차 만세사건의 배후이자 독립군자금 수송책의 배후로 지목되어 붙잡힌 초월스님의 모습을 시작으로 만해스님과의 넋과 기억을 더듬어 이야기를 나누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독립운동이 범민중운동으로 점화되기 시작한 3.1운동 이후부터 8.15 광복까지의 초월 스님의 행적을 따라가며 스님께서 생전에 그토록 주장했던 독립운동의 범민중화의 가치와 의의를 되새겨본다.특히, 이번 공연은 2025년 제106주년 삼일절과 광복 8..

2025년 다해 2월 25일 화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2025년 다해 2월 25일 화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복음: 마르코 .9,30-37 영웅적인 순교의 비결!> 돈보스코는 꿈의 성인(聖人)으로 불릴 만큼 많은 꿈을 꾸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꿈들이 현실에서 그대로 재현되곤 했습니다. 그는 100년도 훨씬 전에 자신의 제자들인 살레시안들이 이탈리아 반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 방방곡곡에서 활동하고 있는 꿈을 꾸었습니다. 이런 돈보스코의 꿈 이야기를 전해 들은 주변 사람들은 그를 향해 ‘약간 맛이 간 사람’ ‘지나친 몽상가’라고 손가락질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꿈은 120% 실현되었습니다. 지금 살레시오회는 160여 개국에 진출해서 그가 못다 이룬 꿈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한번은 돈보스코가 두 명의 살레시오 회원이 금으로 된 큰 성 잔을 들고 있는 꿈을..

2025년 2월 25일 화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2025년 다해 2월 25일 화요일 † [녹] 연중 제7주간  복음: 마르코 .9,30-37 악마가 되는 법: 마중물의 법칙을 어기면 됨>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무엇이든 사람이 심는 대로 거둔다”(갈라 6,7)는 성경의 가르침대로, 세상 모든 일에는 마중물이 필요합니다. 콩을 거두려면 손에 쥔 콩을 땅에 심어야 하고, 재물을 얻으려면 먼저 투자와 희생이 따르는 법이죠. 그러나 만약 아무것도 포기하거나 심지 않고, 단번에 열매만 얻으려 한다면 어떨까요?오늘은 이를 무시하고 파멸에 빠진 파우스트의 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하면 ‘악마가 될 수 있는지’”를 성찰해 보고자 합니다.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파우스트는 ‘무한한 쾌락, 지식, 권력’을 얻고자 악마(메피스토펠레스)와 계약합니다. 그는 정당한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