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코플러스/에코뉴스

대한상의, 中 진출기업 89% ‘저임금 매력, 5년 내 사라져’

‘저임금 경쟁력’ 중국시장 진출의 가장 큰 매력으로 꼽혀왔었지만 곧 사그라질 전망이다. 최근 중국의 임금상승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22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의 임금수준 및 인상속도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저임금 투자매력이 언제 소멸될 것인가’하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45.6%는 ‘3~5년 내’이라고 답했고, 이어 ‘1~2년 내’(29.2%), ‘이미 소멸’(14.2%), ‘6~10년 내’(11.0%) 순이었다. ‘저임금 매력이 이미 사라졌거나 늦어도 5년 내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89%에 이르는 셈이다.

중국의 임금 상승 속도에 대해서도 응답기업의 대다수인 99.1%가 빠르다 <‘매우 빠르다’ 72.7%, ‘빠르다’ 26.4%>고 체감하고 있었다. ‘느리다’는 응답은 0.9%에 그쳤다.

실제 중국 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은 2000년 이후 평균적으로 매년 12.6%씩 가파르게 인상돼 1999년 9,875위안(약 170만원, 현재 환율기준)에서 2009년 32,244위안(약 554만원)으로 10년 만에 3배 이상 올랐다.

또 중국 정부는 2010년에 최저임금을 30%가량 인상했으며, 올 들어 베이징과 장쑤성에서 최저임금을 각각 21%, 18.8%씩 올리는 등 중국의 임금인상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 중국진출기업들은 중국의 인건비 경쟁력이 동남아 국가들보다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국의 인건비 경쟁력이 동남아 국가에 비해 높다고 응답한 기업이 18.5%<‘매우 높다’ 0.9%, ‘높다’ 17.6%>에 그친 반면 낮다고 응답한 기업은 81.5%<‘매우 낮다’ 17.1%, ‘낮다’ 64.4%>나 됐다.

하지만 이같은 중국의 가파른 임금 오름세에도 중국시장은 국내 기업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보인다.

향후 중국 내 투자 계획을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기업들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겠다’(58.0%)고 답했으며, ‘확대할 것’이란 응답도 28.3%나 됐다. ‘축소하겠다’거나 ‘제3국으로 기업을 이전하는 등 중국에서 철수하겠다’는 응답은 각각 8.2%와 5.5%에 불과했다.

중국의 임금인상에 따른 대응방안으로는 많은 기업들이 ‘자동화 등으로 생산성을 제고할 계획’(36.6%)이라고 답했으며, ‘임금인상을 수용하겠다’는 답변도 31.9%나 됐다. 이어 ‘수출중심에서 중국내수 중심으로 사업모델 전환’(19.2%), ‘중국 내륙도시로 생산라인 이전’(7.5%) 등도 고려하고 있었다. 그러나 ‘생산시설을 제3국으로 이전’(3.3%)하거나 ‘한국으로 유턴’(1.5%)하는 등 투자 이전이나 철수는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진출기업의 가장 큰 경영애로 사항(복수응답)으로는 ‘노동규제 강화’(46.4%)와 ‘생산인력 부족’(44.1%) 등을 꼽았으며, 이어 ‘잦은 법규 및 제도 변경’(25.5%), ‘관리자 및 전문인력 부족’(20.9%), ‘외투기업에 대한 우대혜택 폐지’(20.5%) 등이 지적됐다. <‘위안화 절상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 18.2%, ‘노조의 권리강화 등 노사갈등’ 6.8%, ‘세제 관련 비용 증가’ 5.9%, ‘환경규제 강화’ 4.5%)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지난해 10월 중국 정부가 12차 5개년(2011~2015년) 계획을 통해 임금상승을 공식화한 것처럼 중국의 저임금 시대는 조만간 저물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들은 저임금에 의존하는 가공무역에서 벗어나 중국 내수시장과 고부가가치 시장을 직접 공략하는 전략을 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범용 기자 : tiragon@enviros.co.kr]

[저작권자 (c) 에코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환경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News Network 에코데일리 (www.ecolover.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