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공유/Faith

2025년 3월 6일 목요일 † [자]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tiragon 2025. 3. 6. 09:03

2025년 다해 36일 목요일 []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복음: 루카 9,22-25

 

<순교는 십자가의 크기가 아닌 꾸준함에 있다.>

 

하퍼 리(Harper Lee)는 젊은 나이에 앵무새 죽이기(To Kill a Mockingbird)라는 위대한 작품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이 작품은 1960년에 출판되어, 그해 퓰리처상을 받으며 문학계의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후 약 50년 동안 새로운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하퍼 리가 왜 더 이상 글을 쓰지 않았는지,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된 이유는 그녀 자신이 그 두 번째 작품에 대한 부담감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퍼 리는 그녀의 출판사와 인터뷰에서 나는 이미 앵무새 죽이기로 인생의 목표를 이룬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마거릿 미첼(Sherman Mitchell)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녀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라는 역사적인 소설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이 책은 1936년에 발표되어, 미국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미첼의 첫 번째 소설은 결국 퓰리처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그녀는 문학계에서 큰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그녀도 역시 그 이후로는 어떤 글도 쓰지 못했습니다.

 

저는 이것이 완벽주의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완벽주의는 열등감에서 옵니다.

더는 좌절하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최고의 위치에서 또 다른 책을 썼다가 평이 좋지 않고 팔리지 않으면 자기 위치를 잃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는 마음이 자존감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자신이 반드시고난을 겪고 죽은 후 부활하실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이 단지 일시적인 일이 아니라, ‘부활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우리도 그 길을 함께 따를 것을 요구하십니다.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저도 사제가 되라는 주님의 뜻이 있었지만, 따를 자신이 없었습니다. 특별히 결혼 안 하고 산다는 게 넘을 수 없는 산처럼 느껴졌습니다.

어느 날 마음에 드는 자매와 산 정자에 앉았을 때 오늘의 말씀이 들렸습니다.

이 말씀으로 십자가가 나에게 불가능한 무엇이 아니라 할 수 있는 무엇으로 보였습니다.

여기에는 바로 매일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평생 혼자 산다고 생각하면 참으로 힘들지만, 하루하루로 생각하면 큰일이 아니었습니다.

 

아무리 서로 사랑하여 떨어지면 죽을 것 같이 느끼는 신혼부부라도 어떤 한 사람이 여행 가서

일주일 떨어져 있는다고 상사병으로 죽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십자가의 순교 또한 내가 얼마나 큰 크기의 십자가를 지느냐에 있는 게 아니라 그것을 오늘 하루만 버틸 수 있느냐로 다다를 수 있습니다.

 

순교자들의 고문과 박해를 생각하면 그것은 넘을 수 없는 산입니다.

그러나 한 발짝씩 올라간다면 언젠가는 그 산을 넘을 수 있는 것입니다.

 

세계적인 명작을 낸 후에도 두려워하지 않고 계속해서 후속작을 쓴 대표적인 작가로는 존 스타인벡(John Steinbeck)을 들 수 있습니다. 그는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에덴의 동쪽(East of Eden)등으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스타인벡은 분노의 포도1939년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큰 명성을 얻었지만, 그 후에도 계속해서 새로운 작품을 써 나갔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영감을 받았다기보다는 매일 글 쓰는 습관과 끈기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했습니다.

 

스타인벡은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 자주 언급하며, 글쓰기는 영감이 떠오를 때만 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글을 쓰는 습관과 일관성에서 온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의 말 중 하나는 영감은 바로 그 자리에 있다. 내가 앉아서 하루에 몇 시간씩 글을 쓸 때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이 떠오른다.”라고 했습니다. ‘분노의 포도1939년 작품이고 에덴의 동쪽1952년 작품입니다. 이 밖에도 그의 작품은 10권이 넘습니다.

 

장사와 요리의 한국 대표적 전문가인 백종원 대표도 많은 브랜드를 만들었지만, 대부분의 수익은 빽다방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10개 중 1개만 성공한다는 뜻입니다.

그래도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 십자가를 지는 자세입니다.

 

인도에 아내의 죽음 때문에 평생 산을 깨서 길을 낸 사람이 있습니다.

그의 삶이 영화로 나오기도 하였습니다. 사순을 시작하는 지금 그분의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어떻게 사순 동안 술과 담배를 끊겠어?’, ‘내가 어떻게 사순 동안 단것을 먹지 않을 수 있겠어?’ 그러나 오늘 하루는 할 수 있지 않습니까?

그것도 안 되면 한 시간은 할 수 있지 않습니까?

 

예수님도 광야에서 그렇게 하루하루 사셨을 것이고 그 하루하루가 모여 40일이 되었습니다.

그분의 삶 자체도 십자가의 길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부활의 희망으로 합니다.

그런데 하루만이라도 십자가를 지고 나면 부활의 기쁨이 마지막 때 한 번에 오는 것이 아니라 하루의 십자가에도 부활의 기쁨이 벌써 온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책을 한 줄 썼을 때 이미 완성된 명작의 희망이 주는 기쁨이 주어집니다.

그것이 그다음 날도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평생 지어야 할 십자가는 잠시만 보고 오늘 당장 지어야 할 십자가만 생각하며 살아갑시다.

 

https://youtu.be/SC1c3xUahpI

 

유튜브 묵상 동영상

 

 

전삼용 요셉 신부